기사 메일전송
제주도, 괭생이모자반 상황 대책본부 가동
  • 김진산 기자
  • 등록 2022-01-11 11:46:09

기사수정


[제주 김진산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가 괭생이모자반 유입에 선제적으로 대응키 위해 유관기관 합동으로 상황 대책본부를 가동한다.


최근 국립수산과학원의 인공위성 모니터링에서 동중국해 북부해역에 괭생이모자반으로 의심되는 소규모 개체가 관측되고, 중국 동부 연안(산동반도)에서 발생된 것으로 추정되는 괭생이모자반이 전남 신안군 해역에 유입된 것에 따른 조치다.


제주도는 각 행정시와 해양경찰, 해양환경공단, 한국어촌어항공단 등과 합동으로 3개 대응반의 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유입가능성이 높은 지점의 예찰을 강화해 연안에 밀려온 모자반을 신속하게 수거할 방침이다.


해양수산국장이 본부장을 맡는 도 대응반은 이달 1일 상황관리 및 유관기관 역할 분담 등 업무를 총괄하고, 행정시 및 읍면동으로 구성된 현장대응반은 괭생이모자반의 신속한 수거 및 처리 등 현장 업무를 담당한다.


유관기관인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괭생이모자반 예찰 및 피해 예방활동을 한다. 해양환경공단, 한국어촌어항공단 및 해경에서는 청항선, 어항관리선, 방제정을 투입해 해안으로 유입되기 전 해상 수거 활동을 지원한다.


도는 해류와 바람의 영향으로 인한 괭생이모자반 대규모 유입에 대비키 위해 바다환경지킴이 인력을 2월 중에 배치하는 한편, 가용인력과 장비를 최대한 동원할 계획이다. 


좌임철 제주도 해양산업과장은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유입 가능성이 높은 지점의 예찰을 강화하고 인력.장비를 투입해 부패 전 신속한 해상 수거와 유입 상황 관리에 집중하겠다”면서, “중국발 괭생이모자반으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수거·지원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제주도는 총 9,756톤의 괭생이모자반을 수거했다. 이는 2020년 5,186톤 대비 88.1% 증가한 물량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