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1조6000억 펀드 환매 중단’ 라임자산운용 파산 선고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2-02-17 21:17:23

기사수정
  • 파산 관재인에 예금보험공사...가교 역은 웰브릿지자산운용

라임자산운용 홈페이지 화면/사진 라임자산운용[이승준 기자] 펀드 환매 중단으로 1조6000원대 자산 피해를 낳은 라임자산운용이 결국 파산했다.


17일 법조계에 의하면 서울회생법원 회생15부(전대규 부장판사)는 이날 라임자산운용에 파산을 선고했다.


파산관재인은 예금보험공사가 맡을 예정이다. 이에 라임자산운용의 재산에 관한 관리처분 권한은 예금보험공사가 가진다.


채권자는 올해 4월 21일까지 서울회생법원에 채권을 신고할 수 있다. 채권자 집회는 5월 19일 열릴 예정이다.


라임자산운용이 운용했던 총 215개의 펀드는 라임펀드 판매사들이 공동으로 설립한 가교운용사(배드뱅크)인 웰브릿지자산운용이 인계했다. 웰브릿지자산운용은 환매 중단 펀드와 정상 펀드를 넘겨받아 투자금을 최대한 회수하는 역할을 맡았다.


앞서 라임자산운용은 2017년 5월부터 펀드 투자금과 총수익 스와프(TRS) 대출자금을 활용해 인터내셔널 인베스트먼트그룹(IIG)펀드 등 5개 해외무역금융 펀드에 투자하다가 부실이 발생했다.


이후 2019년 7월 부실관리 의혹이 불거지면서 라임자산운용이 운용하던 펀드에 들어있던 주식 가격이 폭락했다. 여기에 라임자산운용의 펀드 가운데 173개가 상환과 환매가 연기되면서 1조6700억원에 가까운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종필 전 부사장과 원종준 전 대표 등 경영진은 펀드 부실을 감추고 투자금을 계속 유치하는 등 펀드를 판매·운용하는 과정에서 불법 행위를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져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았으며 현재 2심 재판이 진행 중이다.


사건의 핵심 인물인 김봉현 스타모빌리티 회장은 현재 서울남부지법에서 1심 재판을 받고 있다. 김 회장이 사건의 배후로 지목한 김영홍 메트로폴리탄 회장은 해외로 도피했다.


이로 인해 국내 헤지펀드 업계에서 운용자산 기준으로 1위였던 라임자산운용은 설립 8년여 만인 2020년 12월 등록이 취소됐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